Study/Jenkins

Jenkins에서 Tomcat 설정

hongeeii 2021. 11. 25.
728x90
반응형

1. Tomcat 설정

  • tomcat-users 에서 username와 password 설정
// tomcat-users 설정
# vi /usr/local/tomcat9/conf/tomcat-users.xml
<tomcat-users xmlns="http://tomcat.apache.org/xml"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tomcat.apache.org/xml tomcat-users.xsd"
              version="1.0">
            
...
// 하단 내용 입력

  <role rolename="manager"/>
  <role rolename="manager-gui" />
  <role rolename="manager-script" />
  <role rolename="manager-jmx" />
  <role rolename="manager-status" />
  <role rolename="admin"/>
  <user username="admin" password="1234" roles="admin,manager,manager-gui, manager-script, manager-jmx,  manager-status"/>

작성한 username과 password 기억

2. Jenkins Plugin 설치

  • Jenkins 관리 -> 플러그인 관리 선택
  • Deploy to container Plugin 설치

3. Jenkins 설정

  • 프로젝트 -> 구성 클릭
  • 빌드 후 조치 탭에서 빌드 후 조치 추가
    Deploy war/ear to a container 선택
  • WAR/EAR files : **/*.war
    Content path : /demo

**/*.war 는 젠킨스에서 빌드된 war 파일을 가지고 옵니다.
Content path 는 tomcat에서 올라갈 context path 명이 됩니다.

  • Add Container -> Tomcat 9.x 선택
  • Credentials 에서 Add 클릭
    Kind : Username with password
    tomcat-users에서 설정한 username, password 입력
  • 생성한 Credentials 선택 후 Tomcat URL 입력
  • 저장

4. 배포 확인

  • Build Now 클릭
  • Console Output에서 콘솔 확인
    var/lib/jenkins/workspace/프로젝트(item)명/buiild/libs/xxx.war 에서 tomcat의 webapps에 자동으로 배포가 됩니다.


    이때 webapps에 배포된 war파일은 자동으로 압축이 해제됩니다.
  • tomcat manager에서 배포한 프로젝트 확인
  • http://자신의 ip:톰캣포트/manager/html 접속
    tomcat-users.xml 에서 지정한 username, password 입력
  • /demo 로 프로젝트가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Study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환경에 Jenkins 설치하기, jenkins 공유 서버  (0) 2021.11.25
What is Jenkins?  (0) 2021.11.25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