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JAVA의 형변환(Casting)
변수는 한번 자료형을 정하면 자료형에 맞는 값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형변환을 통하여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1. 정수와 실수 사이의 형변환
정수타입의 변수에는 실수를 담을 수가 없고, 실수타입의 변수에는 정수를 담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형변환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 방법에는 강제 형변환, 명시적 형변환이 있습니다.
1) 강제 형변환


강제 형변환은 자료형의 크기가 더 큰 숫자가 자료형의 크기가 더 작은 타입으로 변환할 때 사용됩니다.
앞에 (자료형)을 사용하므로써 실수를 소수점을 버린 정수형태,
정수를 소수점을 포함한 실수형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2) 명시적 형변환


반대로 명시적 형변환은 자료형의 크기가 더 작은 숫자가 자료형의 크기가 더 큰 타입으로 변환될 때 사용됩니다.
앞에 명시적으로 (자료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형 변환이 됩니다.
2. 문자열과 숫자사이의 형변환
문자열로 나타낸 숫자를 정수형으로 변환할 경우에는
Integer.parseInt("문자열 숫자");
이렇게 써주시면 됩니다.


문자열로 나타낸 숫자를 실수형으로 변환할 경우에는
Double.parseDouble("문자열 숫자")
이렇게 써주시면 됩니다.


반대로 숫자를 문자형으로 변환할 수 있을까요??
Integer.toString(정수) : 정수를 문자로
Double.toString(실수) : 실수를 문자로
이 방법으로 실수와 정수를 문자로 형변환 할 수 있습니다.

형변환에 따른 연산방법을 알아봅시다.
정수 + 정수 = 정수
정수 + 실수 = 실수
ex) 3 + 0.0 = 3.0
문자 + 정수 = 문자


이상으로 형변환(Casting)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KoreaIt Academ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 JAVA의 조건문과 반복문 (0) | 2021.07.10 |
|---|---|
| 5. JAVA의 연산자(Operator) (0) | 2021.07.08 |
| 3. JAVA의 변수 + 상수 (0) | 2021.07.08 |
| 2. JAVA의 출력함수 'Print' 의 종류와 사용방법 (0) | 2021.07.08 |
| 1. 이클립스 설치와 기본 설정, 단축키 모음 (0) | 2021.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