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It Academy/HTML & CSS

대표적인 웹(web) 표준, 프로토콜(protocol) - http, https, ip

hongeeii 2021. 8. 16.
728x90
반응형

웹(web)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과 응답이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주소로 찾아가서 인터넷의 컨텐츠(문서와 그림, 멀티미디어 파일 등)를 
검색 및 열람 후 사용자에게 응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입니다.
주요 웹 브라우저로는 모질라 파이어폭스, 구글 크롬,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오페라, 사파리 등이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 서버에게 요청하는 대상
- 서버 : 요청받은 서비스를 제공(응답)해주는 대상

 

 

프로토콜(protocol)

▶ 사람끼리 소통할 때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공용어를 사용해야 하듯이 컴퓨터끼리도 공용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공용어를 원활하게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 http :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웹 페이지 등의 자원을 통신하는 규약입니다.
텍스트로 통신하기 때문에 가로채어 본다면 누구든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https :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Socket) 

SSL(Secure Socket Layer)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원을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해서 통신하는 규약입니다.
서로 다른 키 2개가 존재하고 1번키로 암호화를 했다면 반드시 2번 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SSL인증서 구입 비용 및 갱신 비용이 발생하고 http에 비해서 서버에 부하가 더 많아집니다. 


IP(Internet Protocol) 

사람이 태어나면 출생신고를 하고 고유번호인 주민번호를 발급받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를 구분하듯이 네트워크 상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를 IP주소라고 합니다.
cmd -> ipconfig -> ipV4 


네이버 주소로 찾아가기 

주소창에 "125.209.222.142" 입력

 

 

도메인(Domain) 

IP주소는 기억하고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 입니다.

ex) 125.209.222.142 -> naver

 

WWW(World Wide Web) 

인터넷에 연결된 전 세계 컴퓨터들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공간입니다.

W3C(World Wide Web) 

WWW를 위한 표준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중립적인 기관입니다. WWW를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웹 접근성 

모든 사용자가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 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우스가 없는 환경이나 키보드만을 조작해야 할 경우, 신체적 장애로 인해 특수한 환경 하에 접속을 해야 되는 경우, 

브라우저별,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해야 되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정보제공이 다름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웹 표준(Web Standard)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하며, 

이는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사용되는 비표준화된 기술을 배제하고 

W3C의 토론을 통해 나온 권고안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웹 문서의 구조와 표현, 그리고 동작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대표적인 웹 표준 


1.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마크업 언어란 태그 방법 체계를 의미하며,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는 언어입니다.

2. CSS(Cascading Style Sheets)
구체적으로 어떤 스타일로 요소가 표시되는 지를 정하는 규격입니다.
HTML로 문서를 구조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꾸미기도 할 수 있지만,
동일한 디자인을 사용한 문서가 여러 개 있다면, 변경 시 모두 하나씩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합니다. 

CSS는 이런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웹 페이지에서 내용과 스타일을 분리하고 역할도 분리해줍니다.

3. XHTML(Extensible HTML)
기존에 사용되던 HTML 규격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러가지 확장된 기능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XML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도 있습니다.

따라서 HTML과 XHTML은 사실상 큰 차이 없이 사용됩니다. 


4.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어떠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로 지은 태그로 데이터를 감쌉니다. 

태그로 데이터를 설명하며, 이것이 데이터의 표시(Markup)가 되고 추가적인 데이터가 생기면 

태그 추가와 태그 내부 내용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달에 목적이 있습니다.  

<? xml version="1.0"?>
     <user>
          <userId>hds1234</userId>
          <name>한동석</name>
     </user>

 

 

 

728x90
반응형

추천 글